한국어 교재의 유형론적 관점과 교재개발의 실태과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07:49
본문
Download : 한국어 교재의 유형론적 관점과 교재개발의 현황과 쟁점.hwp
셋째, 위의 두 가지 경우만큼은 되지 않지만 교재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면서 특정 집단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교재가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첫째, 기존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체제, 내용, 교수법과의 관련성 등을 주요 기준으로 평가하면서 새로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초기 연구부터 지금까지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으로 교재 관련 연구가 결국 교재 개발에 기여해야 한다는 당위론적 사고에 기인한다.
둘째, 최근에 주로 나타난 현상으로 외국어 교수법 이론(理論) 등에 바탕을 두면서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를 제시한다.
설명
한국어 교재의 유형론적 관점과 교재개발의 실태과 쟁점
up한국어교재의유형론적관점과교재개발의실태과쟁점
최근 한국어 교재관련 연구들을 검토해 보고,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이론적 논의를 교육과정, 교수요목, 학습자 요인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재 유형론적 관점의 몇몇 쟁점을 살펴보고자 작성한 글입니다. 즉 교재 선택의 기준에 대한 연구로 교재 평가론에 이론(理論)적 바탕을 둔다.up한국어교재의유형론적관점과교재개발의현황과쟁점 , 한국어 교재의 유형론적 관점과 교재개발의 현황과 쟁점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어 교재의 유형론적 관점과 교재개발의 현황과 쟁점.hwp( 75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1. 들어가기
2.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의 최근 경향
2.1 학습자 요구分析 연구
2.2 학습자 변인별 교재개발 기초 연구
2.3 한국어 교재의 총론적 접근 연구
3. 교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교재개발 實態
3.1 교육과정적 측면과 교재
3.2 교수요목 측면과 교재
3.3 학습자 요인 측면과 교재
4. 교재 유형론적 관점의 몇 가지 쟁점
4.1 범용의 교재는 필요한가?
4.2 통합교재인가? 분리교재인가?
4.3 heritage 교재는 어떻게 달라야 하나?
5. 맺는 말
bibliography
2.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의 최근 경향
한국어 교재와 관련한 연구는 일견 한국어교육의 발달, 한국어 교재의 개발 과정과 맥을 같이 할 것으로 보이나 의외로 빈약한 것으로 나타난다.
1973년 이후 현재까지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의 주된 흐름을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논의를 좀 더 좁혀 최근의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면 과거의 연구와는 다른 경향을 보여주는데, 이는 최근에 한국어교육계에서 자리잡기 처음 한…(투비컨티뉴드 )
다. 좀 더 나아가 몇몇 쟁점에 대하여 깊이 있는 논의를 전개하면서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는 경우이다. 이후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나 연구 방향이 그리 다양하지 못하고 몇몇 연구를 제외하고는 깊이 또한 그리 깊다고 보기 어렵다.
최근 한국어 교재관련 연구들을 검토해 보고,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이론적 논의를 교육과정, 교수요목, 학습자 요인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재 유형론적 관점의 몇몇 쟁점을 살펴보고자 작성한 글입니다.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육이 본격적으로 실시된 history(역사) 가 50년에 가깝고 교재 개발 역시 이 기간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온 것과는 다르게 한국어 교재와 관련한 초기의 연구는 1973년과 1974년의 일이다. 문법 항목 선정 및 제시의 예, 단원 구성의 실례, 文化(culture) 교육적 요소 반영 방법 등이 그 예이다. 이 두 편의 초기 연구 이후 10년이 넘게 교재 관련 연구 성과물을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어교육이 도약기를 맞은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물들이 나타나기 처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