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도 민담의 비교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06:17
본문
Download : 한국 인도 민담의 비교연구.hwp
이것으로 항상 일정한 구조적인 틀을 유지하면서 모티핌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주어 내용은 변이 되나 그것이 수행하는 기능은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된다.
남편은 승천하지 않고 아내와 헤어지고 금기Ⅱ의 설정은 없고 맏아들이 후에 승천하게 된다된다.
×
결 과 Ⅱ
금기를 깨뜨리고 선녀가 승천한다.
하늘로 공주별이 승천한다.
설명
3. 화소(話素)의 변이
양국간(한국과 인도)의 민담을 이야기의 요소(화소話素)를 통하여 변이된 부분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나라구분
화소항목
한 국
인 도
변이
계 기
사슴을 살려준 보은으로
공주별의 아름다운 옷으로
○
장 소
산 속
산 속
×
인 물
가난한 나무꾼
사냥꾼
○
이 유
선녀를 아내로 삼으려고
깃옷의 아름다움에 끌려 아내로 삼으려고
×
금 기
사슴의 충고로 금기Ⅰ 설정
금기와 충고가 없다.
○
위의 도표에서 알 수 있듯이 계기화소, 인물화소, 종시 화소가 변이 되었다.
4.구조analysis(분석) 과 내면적 의미
프로프(V.Propp)가 定義(정이)한 구성요소와 이들 구성 요소 상호간의 관계 및 이들과 설화 전체와의 관계에 따라서 설화를 기술하는 방법론을 가리키는 것으로 구조…(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한국 인도 민담의 비교연구
한국·인도민담의비교연구 , 한국 인도 민담의 비교연구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인도민담의비교연구





Download : 한국 인도 민담의 비교연구.hwp( 67 )
순서
다. 특히 계기화소와 종시 화소의 변이가 확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여기서 언급되어야 하는 이야기는 결국 헤어지게 되는 모티프는 동일하나, 한국의 경우 우리 민족 의식 속에 깊이 뿌리 박혀 있는 효의 사상으로 빚어진 비극이 일어나며, 천상에 두고 온 처자를 그리워하는 인간의 심리묘사가 부연·확장되어 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주요구조는 변형되지 않았다.
○
방 법
깃옷을 주지 않고 아내가 되어주기를 바램
깃옷을 주지않고 아내가 되어주기를 부탁
×
결 과 Ⅰ
결혼하여 자녀를 낳는다
결혼하여 자녀를 넷 낳는다.
×
종 시
두레박을 타고 천상으로 가나 지상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으로 지상에서 금기Ⅱ를 깨트리고 승천하지 못하고 아내와 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