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면역 관용 현상에 대한 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2 19:01
본문
Download : [A+] 면역 관용 현상에 대한 분석.hwp
③클론무감작 : 항원 수용체 등 항원에 대한 reaction 기구의 downregulation. (clonal anergy)
④림프세포 활성화의 지속적 억제: inhibitory lymphokine을 통한 세포활성의 억제 등 self 모두 관용 따라서 non-self인식
3. 자기항원에 대한 T세포의 면역관용
(3-1) T세포 면역관용의 면역학적 의의 및 T세포 관용의 유형
* 면역학적 의의 : 특히 helper T세포는 면역reaction 의 지시 및 조절을 수행하는 중심세포이므로 self-MHC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self-antigen을 인식하는 T세포를 관용화함으로써 면역계가 self와 non-self를 철저히 구별하는 기본이 됨.
apoptosis cell의 특징:DNA(핵)의 절편화, 응축 fig 10.10
* T세포 관용의 유형:
①intrathymic tolerance : self-antigen인식 T세포, self-MHC 인식불가능 T세포의 관용 유도로서 세포관용유도에 있어서 중심적 역할 central tolerance
②postthymic tolerance : 흉선 내에서는 만나지 못한 말초 self-antigen에 대한 T세포의 관용유도
peripheral tolerance
(3-2) clonal deletion에 의한 intrathymic tolerance의 기작 - 흉선 에서의 교육
* 흉선세포의 약 85-90%를 차지하는 CD4 CD8 dual positive cell의 대부분은 죽…(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A+] 면역 관용 현상에 대한 분석.hwp( 37 )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우수자료] 면역 관용 현상에 대한 분석면역관용 , [A+] 면역 관용 현상에 대한 분석의약보건레포트 ,
순서
면역관용
[A+] 면역 관용 현상에 대한 analysis(분석)
[우수資料] 면역 관용 현상에 대한 analysis(분석)
다.설명
2. 면역관용reaction 의 유형
* 생체내의 self-antigen에 대하여 림프세포가 보이는 관용의 유형
①클론결손 : 말초계를 순환하는 림프세포의 클론 repertoire로부터의 물리적결손. (clonal deletion)
②클론부전 : 미성숙 림프세포의 분화를 정지시킴 (clonal abortion), effector function은 없지만 reaction 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