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직원이 자주 노출되는 감염성 질환의 특성(特性) 및 노출 후 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22:54
본문
Download : 병원직원이 자주 노출되는 감염성 질환의 특성 및 노출 후 관리.doc
④ 헌혈이나 장기이식 등은 하지 않도록 한다.병원직원이자주노출되는감염성질환의특성및노출후관리 , 병원직원이 자주 노출되는 감염성 질환의 특성 및 노출 후 관리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병원직원이 자주 노출되는 감염성 질환의 특성(特性) 및 노출 후 관리





라. 노출된 직원의 주의사항
① 노출된 직원은 감염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감염원으로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근무를 계속하여야 할 경우는 환자와 접촉전이나 환자에게 사용할 기구를 다루기 전에 삼출 부위에 드레싱을 하고 멸균장갑을 착용하여야 한다.
ⓗ HBsAg 양성이거나 C형 간염 항원 양성자가 손에 삼출성 병변이 있으면 가능한 한 근무를 제한한다.
⑤ 손에 상처가 생긴 경우에 환자와 접촉할 때는 꼭 장갑을 착용하도록 한다.
ⓖ HBsAg 양성이거나 C형 간염 항원 양성자는 손에 삼출성 병변이 있지 않는 한 근무를 제한시킬 필요는 없다.
② C형 간염바이러스
ⓐ 간 질환 말기 환자나 간경화 환자에게 감염되어있을 확률이 높다.
② 혈액이나 체액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마. 질환별 속성 및 감염관리
① B형 간염바이러스
ⓐ 비경구 접촉시 10-40%의 감염 가능성이 있으며, 환자가 HBeAg이 있을 경우 감염가능성이 높아진다.
ⓓ B형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하였으나 효율적인 항체생성이 안된 직원이 노출된 경우는 HBIG과 함께 B형간염 예방접종 1회만 추가 접종한다.
ⓔ 3개월 후에 추후관리하여 직원의 항원 및 항체 유무를 확인한다.
ⓑ 비경구적 …(drop)
다.
③ 감염을 나타내는 증상이나 증후가 있는지 잘 observation한다.
ⓕ HBsAg 양성이거나 보균자(6개월 간격으로 실시한 검사에서 HBsAg가 2회 이상 양성으로 나올 때)인 직원은 다른 사람에게 전파시키지 않도록 스스로 주의하여야 한다.
병원직원이 자주 노출되는 감염성 질환의 특성 및 노출 후 관리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Download : 병원직원이 자주 노출되는 감염성 질환의 특성 및 노출 후 관리.doc( 44 )
병원직원이자주노출되는감염성질환의특성(特性)및노출후관리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병원직원이 자주 노출되는 감염성 질환의 특성(特性) 및 노출 후 관리에 대한 글입니다.
ⓑ B형 간염항원 양성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오염된 주사침에 찔리거나 점막이 노출된 경우는 직원의 면역상태를 고려하여 (표 II-10-3)과 같이 예방 조치를 한다.
ⓒ 면역력이 없는 직원에 B형 간염에 노출되면 항체 주사와 함께 예방접종을 동시에 처음 하도록 한다. HBIG의 주사는 노출후 24시간 이내에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