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초 중앙 통치조직과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03:36
본문
Download : 고려초 중앙 통치조직과 성격.hwp
,기타,레포트
1. 머리말
2. 고려 초기의 통치기구
3. 고려초기 통치조직의 change(변화)
4. 맺음말
1. 머리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국가의 효율적 지배와 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통치조직을 정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3성 6부제가 처음으로 실시된 것은 집권체제가 정비된 성종 초의 일로 건국 초기 고려시대를 시기구분 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하지만, 이 글에서 초기는 편의상 건국(918)~경종말년(981)까지 약 60년 간으로 설정하였다. 12개의 관부는 廣評省·內奉省·徇軍部·兵部·倉部·義刑臺·都航司·物臟省·內泉部·珍閣省·白書省·內軍 등이다.
본문에서는 초기의 宰府라 할 수 있는 주요 4관부 廣評省·內奉省·徇軍部·兵部가 宰府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는 것은 인사발령 상 서열이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경종 즉위년조에 보이는 金傅誥書에 이들 4관부의 장, 차관들이 서명을 하고있기 때문일것이다 (『高麗史』권2, 世家3, 景宗 卽位年 10月 ; 『三國遺事』 紀異2, 金傅大王)…(skip)
설명
고려초 중앙 통치조직과 성격에 관하여 작성한 글입니다.국초 , 고려초 중앙 통치조직과 성격기타레포트 ,
고려초 중앙 통치조직과 성격
레포트/기타
국초
고려초 중앙 통치조직과 성격에 관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의 통치기구와는 거리가 있따 『高麗史』百官志 서문에는 태조 2년에 이미 3성·6尙書·9寺·6衛가 설치되었다고 나와있따 그러나 실제로는 『高麗史』世家 成宗조와 『高麗史節要』成宗조의 기록을 따라 성종 초(982~983)에 확립된 것으로 파악함이 통설이다
그렇다면 고려 초기에는 어떠한 통치조직을 갖추고 있었을까? 이는 太祖의 즉위 5일 후인 원년 6월에 단행한 인사조처에서 살필 수 있따 여기에는 廣評省, 內奉省, 徇軍部, 兵部 등을 중심으로 12개의 官府들이 보인다.
Download : 고려초 중앙 통치조직과 성격.hwp( 36 )





순서
다. 특히 앞의 4관부(廣評省, 內奉省, 徇軍部, 兵部)와 태조 대에 신설되는 內議省이 가장 중추적 정치기구로서의 역할을 담당케 된다된다. 주지하듯 고려의 기본적 중앙관제는 唐制에 입각 한 3省 6部이다. 이는 집권체제의 정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성종대 이전까지를 의미한다.(『고려사』권1 세가 1 ; 『高麗史節要』건1 태조 원년 6월 辛酉)
이것은 모두 고려의 前身이라 할 수 있는 泰封의 제도를 답습한 것이다. 고려 역시 918년 왕조 개창 후 상당 기간에 걸쳐 그러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된다.